상상하라 그리고 현실로 만들어라.

상상하는 모든 것이 미래다.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82

[영어 회화] "잘해, 행운을 빌어" 영어로 말하는 방법

표현 Break a leg! 잘해! 행운을 빌어! 예제 예문으로 보겠습니다. You can look at the examples. A : I'm so nervous! Tonight is the first night of the play. 나 너무 긴장돼! 오늘 밤이 내 첫 공연이야. You : Is it? Well go out there and break a leg! 그래? 잘 할거야,행운을 빌어! 설명 재밌는 표현이죠? 다리를 부러트리라니요ㅎ 이 말은 다리가 부러질 정도로 열심히 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합니다. Isn't it funny expression? It means to work that hard enough to break you leg.

English 2022.01.07

미드 로스트 쉐도잉, '능력이 있다' 영어로 어떻게 말할 수 있을까요?!

능력이 있다, 영어로 어떻게 말할 수 있을까요? have a power? ability? 더 좋은 표현이 있습니다. 미드 로스트를 통해 '능력이 있다'라는 표현을 알아보겠습니다. How can i say '능력이 있다' in english? There is a good expression better than 'have a power or ability'. Let me take a look the expression '능력이 있다' through Lost. 미드 로스트 쉐도잉 아무도 모르는 섬에 불시착한 후, Jack은 자꾸만 죽은 아버지를 봅니다. After crash-land on an island that No one knows, Jack keeps seeing his dead father. 이번에..

English 2022.01.07

[정렬] 코틀린으로 만들어보는 삽입 정렬(Insert Sort)

삽입 정렬(Insert Sort) 삽입 정렬(Insert Sort)는 정렬이 완료된 부분과 정렬이 필요한 부분으로 나누고 정렬이 완료된 부분으로 값을 삽입하는 알고리즘이다. 비교적 다른 정렬 알고리즘보다 구현이 간단한 편이지만, 정렬해야 하는 리스트 또는 컬렉션의 크기가 크면 성능 저하가 일어나는 정렬 알고리즘이다. 따라서 크키가 작은 데이터를 정렬할 때 사용하기에 좋다. #목차 개발환경 이론 코딩 (각 목차를 클릭하면 해당 내용을 바로 볼 수 있습니다.) 개발 환경 언어 : 코틀린(Kotlin) IDE : IntelliJ IDE 이론 예제에서는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기 위해 가장 앞의 수를 기준으로 값을 비교, 삽입한다. 정렬 되는 과정을 아래 그림으로 정리했다. 정렬 미완료 부분에서 순차적으로 정렬을 시..

Kotlin과 Android 2021.06.07

[정렬] 코틀린으로 만들어보는 선택 정렬(Selection Sort)

선택 정렬(Selection Sort) 선택 정렬(Selection Sort)은 수열 중 하나의 숫자를 선택한다.(여기서는 오름차순으로 정렬할 것이기에 가장 작은 수가 된다.) 그리고 위치해야할 자리로 자리를 교환한다. 이 과정을 모든 수가 정렬될 때까지 반복하는 알고리즘이다. 시간 복잡도 순으로 본다면, 선택, 버블 정렬과 같이 O(n2)가 소요된다. 하지만 버블 정렬보다 선택 정렬이 항상 더 우수하며 메모리가 제한된 경우에서는 성능상의 이점이 있다고 한다. #목차 개발환경 이론 코딩 (각 목차를 클릭하면 해당 내용을 바로 볼 수 있습니다.) 개발 환경 언어 : 코틀린(Kotlin) IDE : IntelliJ IDE 이론 수열 [30, 20, 10, 40, 50]을 선택 정렬을 이용해서 오름차순으로 정..

Kotlin과 Android 2021.06.04

[정렬] 코틀린으로 만들어보는 버블 정렬(Bubble Sort)

버블 정렬(Bubble Sort) 정렬되는 모습이 마치 거품(버블)과 비슷하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과정을 그림으로 보면 그 의미가 조금은 이해된다. 난이도는 쉬운편이며 이론을 먼저 정리했고, 그 다음에 구현해봤다. 버블 정렬 알고리즘은 정렬 알고리즘중에서 많이 언급되는 정렬 방법이다. 하지만 순차 탐색이자 완전 탐색의 방식이므로 크기가 큰 수열을 정렬하는데는 무리가 있다. 소요 시간은 마지막에 언급하겠지만 데이터의 크기가 작을 때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 #목차 개발환경 이론 코딩 (각 목차를 클릭하면 해당 내용을 바로 볼 수 있습니다.) 개발 환경 언어 : 코틀린(Kotlin) IDE : IntelliJ IDE 이론 왼쪽에서부터(혹은 오른쪽에서부터) 두 개의 수를 비교하여 자리를 바꾸는 정렬 방법이다. ..

Kotlin과 Android 2021.06.0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