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하라 그리고 현실로 만들어라.

상상하는 모든 것이 미래다.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82

코틀린으로 안드로이드 프래그먼트 데이터 전달하기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현존하는 안드로이드 앱 중에서 프래그먼트를 안쓰는 앱이 있을까요? 아마 대부분 프래그먼트를 사용하는 앱일 것입니다. 주로 뷰페이저 또는 탭 레이아웃에 많이 쓰이죠 프래그먼트(Fragment) 는 하나의 액티비티에 각 화면을 분할, 독립적인 코드로 구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래서 액티비티와 프래그먼트, 프래그먼트와 또 다른 프래그먼트끼리 통신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바로 시작합니다! 액티비티 프래그먼트 A프래그먼트 액티비티 B프래그먼트 데이터 전달하기 1. 프래그먼트 띄우기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서 간단한 앱을 만들겠습니다. 이미 구성하신 분들은 2번부터 봐주세요~ 아래와 같이 프래그먼트 클래스 및 .xml 를 먼저 만들어주..

영어 원서 읽기, 매직 트리 하우스로 하는 영어공부! #8 "Midnight on the moon" Chapter 10.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8권의 마지막 장입니다. 매직 트리 하우스 8권 마지막은 마무리 장 답게 크게 어려운 부분이 없었던 것 같아요. (그래서 오늘은 짧아요..^^;) 마지막은 가볍게 읽어 봐주세요. 시작합니다! #8 Midnight on the moon Chapter10 Earth Life 여행을 잘 마치고 돌아온 Jack 과 Annie. 그리고 드디어 마법에 풀린 Morgan. 어떻게 마무리가 될까요? 그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매직 트리 하우스 8권을 읽어주세요~^^ 1. I've been gone from Camelot for a long time Morgan이 Jack과 Annie에게 돌아가야 한다며 한 말입니다. 문장은 have been + pp형태는 이른바 "현재완료수동태" 죠? 즉, 과거에..

영어 원서 읽기, 매직 트리 하우스로 하는 영어공부! #8 "Midnight on the moon" Chapter 9.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이제 매직 트리 하우스 8권의 장이 딱 2개 남았습니다. 생각보다 금방 왔네요ㅎㅎ 시작합니다! #8 Midnight on the moon Chapter 9. Morgan Jack 과 Annie 의 파이팅 넘치는 여행으로 드디어 마법이 풀리게 된 Magical librarian Morgan! 남매에게 전후 사정을 알려주는데.. 역시 몇 문장을 가져와 봤습니다. 같이 보시죠ㅎ 1. Why did we have to go on this mission to find a mouse? 매직 트리 하우스에서 꽤 긴 문장에 속하는데요. 문장 구조가 한 눈에 들어오시나요? 지난 포스팅에서도 have to 에 대해 언급했었는데요. 오늘은 have to 와 그 뜻이 같은 must, should 에 ..

안드로이드 프래그먼트 생명주기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안드로이드는 액티비티(Activity) 로 화면을 구성하지만, 프래그먼트(Fragment)를 이용해서 다양한 화면을 하나의 액티비티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액티비티와 비슷하게 생명주기라는 것을 가지게 됩니다. 다만, 한가지 차이가 있다면 각 시점에 콜백 메서드가 호출되지 않습니다. 프래그먼트가 있는 액티비티가 전면에 있다면, 생성에 관련된 메서드가 한번에 호출되는 것이죠. 전체 흐름입니다. 액티비티와 다르게 엄청 기네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겠습니다. 생성 관련 메서드 1. onAttach() 액티비티(Activity)에서 프래그먼트 매니저를 통해 Commit 되는 순간 호출되는 메서드입니다. 단순히 var fragment = Fragment() 와 같이 생성자를 이용해..

안드로이드 액티비티 생명주기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안드로이드 앱을 구성하는 액티비티는 어떻게 동작하는 걸까요? 화면이 나타나거나, 화면이 전환될때, 혹은 사라지거나 종료될때. 시스템은 각 시점에 특정 함수들을 호출합니다. 그리고 그 흐름에 따라 앱이 작동하는 것인데요. 안드로이드 개발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액티비티 생명주기 이 액티비티 생명주기를 정확히 알고 각 함수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 어떻게 작성해야 앱을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는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전체적인 흐름입니다. 1. onCreate() 앱이 시작하게 되면 가장 먼저 호출되는 함수입니다. 액티비티가 생성되는 함수로써 이 함수는 최초 1번만 호출됩니다. 그리고 실제로 개발자가 가장 많이 코드를 작성하는 부분이죠. 2. onStart() 화면(View) 가 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