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매주 읽는 매직 트리 하우스 영어 원서!
오늘은 지난번 Chapter 2에 이어,
매직 트리 하우스 #8
Midnight on the moon
chapter 3
Chapter3 는 이제 본격적으로 Jack 과 Annie가 우주선 밖을 탐험하기 시작하는 편이었습니다.
그런데 우주에 나가려면 준비를 해야겠죠?
그 과정에 있는 문장 중 몇가지를 가져왔습니다.
같이 해석해 보시죠!
1. He flipped through it until he found a page that showed the surface of the moon.
참 긴 문장입니다.
아직까진 한눈에 안들어오네요ㅠ
그래도 앞에서부터 하나씩 잘라가며 읽으니 충분히 읽을 수 있었습니다.
같이 볼까요?
먼저, Jack이 어느때와 마찬가지로 책에서 단서(clue)를 얻기 위해 책을 핍니다.
그 후에 나오는 문장입니다.
세 부분으로 끊어 읽을 수 있을 수 있습니다.
He flipped through it / until he found a page / that showed the surface of the moon
그는 책장을 휙휙 넘겼다 / 한 페이지를 찾을 때까지 / 달의 표면을 보여주고 있는
여기서 포인트는 that 입니다.
바로 관계 대명사죠.
어떤 페이지인지 a page 를 that 절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정리하면 이렇게 해석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Jack)은 달의 표면이 나오는 페이지가 나올때까지 책장을 넘겼다."
2. Annie locked Jack's air thank into place.
처음에 이 문장을 봤을때 가장 해석이 안되는 부분이 into place 였습니다.
그래서 찾아봤습니다.
사전적 정의로 into place 는 '제자리에 들어가다' 의 뜻이 있네요.
그래서 "Annie 는 Jack 의 산소 탱크를 제자리에 고정시켰다" 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3. They both closed their see-through visors.
see-through, 가끔 문장에 하이픈(-) 이 들어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익숙해지지 않는다면 한번에 그 의미를 파악하기 힘든 경우죠.
제가 그래요...ㅠ 아직 익숙해지지 않았나봐요.
영어에서 하이픈(-) 을 이용하는 경우는,
뜻이 다른 두개를 합쳐 하나의 단어처럼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복합 명사, 복합 형용사라고 불립니다.
각각의 단어를 합쳐 명사, 형용사처럼 사용하는 것이죠.
위 문장을 예로 들면,
see-through : ~ 을 통해 보이는 것 정도로 해석이 될 것 같아요.
4. We have two-way radios inside our helmets.
이 문장도 하이픈(-) 이 쓰인 문장입니다.
Annie가 큰 목소리로 말해서 Jack이 한 말인데요.
two 와 way 가 합쳐져 무슨 뜻이 되었을까요?
네, 생각하시는 그 뜻이 맞습니다.
복합 명사로 쓰였고 두가지 길, 즉 양방향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이렇게 사전적 의미로도 정의가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 헬멧엔 양방향 무전기가 장착되어 있어" 라고 해석 할 수 있겠네요.
5. She gave Jack a little push.
사실 이 문장은 저도 공부를 조금 더 해야 완벽히 그 뉘앙스를 알 것 같습니다.
앞 뒤 문맥으로 '그녀(Annie) 가 Jack 을 가볍게 밀었다' 로 그 의미는 알겠습니다.
그런데 왜 gave 라는 단어를 썼는지 모르겠습니다.
She pushed him 이라고 해도 될텐데요.
Jack 이 밀리는 느낌을 가지게 되는 뉘앙스를 주고 싶었던 걸까요?
오늘도 이렇게 매직 트리 하우스 원서를 읽어봤습니다.
아직 갈 길이 먼 것을 많이 느낀 Chapter 였던 것 같아요.
더욱 열심히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hapter 4 보기
영어 원서 읽기, 매직 트리 하우스 #8 "Midnight on the moon" 하는 영어공부! Chapter 4.
안녕하세요, 모바일 앱 프로그래밍 전문 블로그 Magical Code 입니다. 주말동안은 원서 읽기 등 영어에 집중하는 시간인데요. 매번 느끼지만 언어를 익히는데는 "절대적인 시간" 이 필요한 것 같아
magicalcode.tistory.com